쿠버네티스

쿠버네티스 - EKS 클러스터 생성 및 배포 실습

우잉~ 2024. 11. 20. 01:36

 

EKS 실습

 

 

 

EKS 클러스터 구성을 위해선느 역할이 필요하다. 권장 역할 생성을 누르면 자동으로 EKS 역할을 생성할 수 있다.

 

간단하게 구성할 것이기 때문에 나머지는 다 기본 설정으로 한다. EKS도 5분에서 10분 정도 소요된다.

 

클러스터가 생성되면 노드를 추가해줘야 한다!

첫번째로는 노드 그룹을 추가해야 한다.

 

노드 그룹 추가

 

노드 그룹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클러스터를 생성했을 때처럼 IAM 역할이 필요하다.  권장 역할을 생성하여 노드 IAM 역할을 선택한다.

기본 노드 그룹은

원하는 크기/최소 크기/최대 크기가 모두 2로 설정되어 있다.

 

노드 그룹이 활성화되면 설정한 노드의 개수가 자동으로 생성된다.

 

 

EKS를 로컬 콘솔에서 작동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아래의 도큐먼트를 확인하고 AWS CLI를 설치해야 한다!

https://docs.aws.amazon.com/eks/latest/userguide/setting-up.html

 

Set up to use Amazon EKS - Amazon EKS

Set up to use Amazon EKS To prepare for the command-line management of your Amazon EKS clusters, you need to install several tools. Use the following to set up credentials, create and modify clusters, and work with clusters once they are running: Set up AW

docs.aws.amazon.com

 

그리고 로컬 kubectl의 버전을 확인해야 한다.

나는... 1.29.1 버전이...다, ,,

정말 슬프다... 나는 가장 최신 버전인 1.31을 선택하여 클러스터를 생성했기 때문이다...

버전은 ±1까지만 가능하니... 꼭 참고해야 한다...

 

프로비저닝 완료

프로비저닝이 됐으면, git clone을 통해 yaml 파일을 가져온다.

 

yaml 파일 모두 실행하여 deployment, service를 생성하고 EXTERNAL-IP로 접속을 시도해본다.

 

 

결과 화면

 

 

실습 요약
EKS에서 클러스터를 생성하고 나서는 노드 그룹을 만들어줘야 한다. + IAM 역할 생성

그리고 로컬 머신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AWS CLI를 설치해야 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