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컴퓨팅/AWS 이론 33

[AWS-SAA] 9-2. Machine Learning

Amazon compreheand- AWS에서 제공하는 자연어 처리(NLP) 서비스- 문서에 있는 개체, 핵심 문구, 언어, 감정 등의 텍스트 요소를 인식할 수 있음- 문서 또는 문서 모음을 분석하여 인사이트를 수집하고, 대량의 텍스트를 기반으로 모델을 지속적으로 학습시키기 대문에 학습 데이터를 제공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 특징 = 즉, 머신러닝 지식이 없어도 사용 가능하단 뜻- 실시간 분석 및 대규모 비동기 분석 작업 가능 => 추가 비용 발생 문서https://docs.aws.amazon.com/ko_kr/comprehend/latest/dg/what-is.html Amazon Comprehend란? - Amazon ComprehendAmazon Comprehend 주제 모델링을 사용하여 고객이 포럼 ..

[AWS-SAA] 10-1. Developer tools

AWS X-Ray- 애플리케이션이 처리하는 요청 데이터 수집하고 필터링하여 문제를 식별할 수 있도록 분석해주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요청 및 응답, 사용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다운스트림 AWS 리소스, 마이크로서비스, 데이터베이스, 웹 API 등의 세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음예: DynamoDB의 Responcse Code: 200, Duration 3m ...- AWS 리소스의 추적 데이터를 사용하여 시각적 자료인 추적 맵을 생성함. 이를 통해 병목 현상, 지연 시간 급증 등 해결해야 할 문제를 식별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음- 다른 AWS 서비스와 X-Ray를 통합하여 요청을 추척하고, 데이터를 X-ray로 직접 보내거나, X-Ray 데몬을 실행할 수도 있음- 예를 들어, AWS ..

[AWS-SSA] 10-2. Front-End Web/Mobile

AWS Amplify- AWS 기반 모바일 및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빠르게 도와주는 도구 및 기능 세트(=프레임워크) - 수많은 엣지 로케이션에서 자동화된 CI/CD 지원. 서버 렌더링 및 애플리케이션 글로벌 배포, UI 개발, 인증 및 스토리지 기능, 실시간 데이터 소스 연결 등 다양한 개발 기능을 포함하고 있음 - 웬만한 모바일 및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이 가능하며, 다양한 플랫폼(Swift, Kotlin, Flutter, React Native 등)을 지원하고 있음 AWS 공식 문서https://aws.amazon.com/ko/amplify/ 풀 스택 개발 - 웹 및 모바일 앱 - AWS Amplify서버 측 렌더링 및 정적 프론트엔드 앱을 배포하고, UI를 개발하고, 인증 및 스토리지와 같은 기능..

[AWS-SSA] 11. Media Services

Amazon Elastic Transcoder- Amazon S3에 저장한 미디어 파일을 다른 형식의 미디어 파일로 변환해주는 서비스미디어 파일 > 모바일 장치, 태블릿, 웹 브라우저, 연결된 TV 등에서 재생할 수 있는 형식으로 변환 Elastic Transcoder의 4가지 요소1. Jobs(작업)- 트랜스코딩 수행하는 것- 하나의 파일을 최대 30가지 형식으로 변환 가능- 작업 생성 시 파일의 이름/트랜스코딩(변환)된 파일 이름, 프리셋 등 몇 가지 기타 설정을 지정해야 함 2. Pipelines(파이프라인)- 트랜스코딩 작업을 관리하는 대기열- 작업 생성할 때 작업을 추가할 파이프라인을 지정하게 됨. 파이프라인에 작업은 순차적으로 처리함- 파이프라인의 일반적인 구성 방식은 2개(표준 우선 순위 파..

[AWS-SSA] 12. AWS Cost Management

AWS Budgets- 비용 및 사용량 추적 서비스- 이를 이용해 AWS 리소스에 대한 비용을 관리하고 예산을 설정하여 지출을 모니터링할 수 있음- Budgets(예산) 설정 시 특정 기간 동안 예상되는 비용/사용량 초과하지 않도록 할 수 있음. + 기준에 따른 알림 수신 가능- CloudWatch, SNS와 연동하여 비용 및 사용량 알림, 이메일, 문자 등을 받을 수 있음.(예: EC2 Instance 예산 90% 사용 시 알람 보내기 => 500만원으로 예산을 설정했을 경우, 450만원에 도달했을 때 이메일 혹은 문자 전송)- AWS Budgets 및 사용량 대시보드를 통해 설정 예산 및 실제 지출 비교하여 실시간 비용을 추적할 수 있음.- 예약 인스턴스(RI), Savings Plans 사용률 예산..

Amazon S3의 개념과 데이터 액세스 빈도와 가격에 따른 S3 스토리지 클래스 유형 및 그 외 기능

AWS에서 제공하는 스토리지 서비스는 3가지가 있다.1. Amazon EBS(Elastic Block Storage) - 블록으로 저장2. Amazon EFS(Elastic File System) - 파일로 저장3. Amazon S3(Simple Stroage Service) - 오브젝트로 저장그 중 오브젝트 스토리지 방식인  S3의 클래스 유형에 대해서 살펴보겠다. Amazon S3(Simple Storage Service)데이터 파일을 "오브젝트(객체)" 형태로 저장하는 AWS의 스토리지 서비스 * 오브젝트(객체)란? S3에 저장되는 각각의 파일 + 메타 데이터로, 오브젝트는 고유한 식별자 또는 키가 존재한다. S3에서는 하나의 파일을 오브젝트라고 부른다고 생각하면 되는데, 이러한 오브젝트를 "버킷(..

[AWS-SAA] AWS CloudFront 배포할 때 SSL/TLS 인증서 발급 요구사항

AWS SAA-C03 덤프를 구매해서 문제 풀다가 전혀 이해할 수 없었던 부분이었다. 문제는 이렇다. [문제]SSL/TLS 인증서를 사용해서 Amazon CloudFront 배포를 구성하려고 할 때,1. 배포할 때 기본 도메인 이름 사용 X2. 다른 도메인 이름 사용 O추가 비용 없이 인증서를 배포할 수 있는 솔루션은? A. us-east-1 리전의 AWS Certificate Manager(ACM)에서 Amazon 발급 개인 인증서 요청B. us-west-1 리전의 AWS Certificate Manager(ACM)에서 Amazon 발급 개인 인증서 요청C. us-east-1 리전의 AWS Certificate Manager(ACM)에서 Amazon 발급 공인 인증서 요청D. us-west-1 리전의 ..

[24.07.16] AWS 기본 과정 6 - NFS(Network File System), AWS EFS(Elastic File System)

NFS(Network File System)- 네트워크를 통해 파일을 공유, 접근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네트워크에 연결된 클라이언트가 원격 서버 파일을 마치 로컬 시스템처럼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다.- 서버-클라이언트 모델을 기반으로 한다.파일 공유 시스템: NFS Server파일 접근 시스템: NFS Client * NAS(Network Attached Storage)- 네트워크에 연결된 독립적인 파일 저장 장치이다.- 파일 시스템 수준에서 데이터 접근을 제공하며 NFS, SMB 등의 파일 공유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EFS(Elastic File System)- AWS에서 제공하는 파일 스토리지이다.- 여러 AWS 서비스와 온프레미스 리소스에서 동시에 접근할 수 있는 파일 시스템을 제공한다.- 블록 ..

[24.07.15] AWS 기본 과정 5 - 로드 밸런서 ELB(Elastic Load Balancer), 리스너(Listener), 리스너 규칙(Rule), 타겟 그룹(Target Group)

ELB(Elastic Load Balancer)- AWS에서 제공하는 트래픽 부하 분산 서비스이다. 로드밸런서는 1999년에 처음으로 개발되었다.서버가 1.1, 1.2, 1.3 세 대가 있을 경우, 접속 요청이 들어올 때마다 차례대로 서버를 나눠주는 방식이었다. -> 라운드 로빈 방식 (round robin)그런데 1.2 서버가 고장났을 경우...? 로드밸런서가 1.2 ip를 가진 서버가 고장난지 알 수가 없다.즉, 사실상 트래픽을 서버에 나눠주기 위해서는 해당 서버가 죽었는지 살았는지 확인을 한 다음에 나눠줘야 올바르게 작동할 것이다.서버가 죽었는지 살았는지 아는 방법? 간단하게 Ping 명령어를 사용해 통신이 되는지 확인하는 방법이 존재한다.그런데 ping 명령어도 Web server가 설치되어 있지..

[24.07.11] AWS 기본 과정 4 - Network Service 2 (가용 영역, 보안 그룹과 NACL, EIP, VPC Peering)

Network Service 2 가용 영역이란?Multi-Avilability Zone(Multi-AZ)로, AWS에서 제공되는 한 리전의 데이터센터의 묶음.서울 리전은 2a, 2c, 2b, 2d 총 4개의 가용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용 영역 간 데이터 통신 비용1. 같은 가용 영역 간 통신은 무료: 가용 영역 내 사설 IP 통신은 무료이다.* 하지만 A 인스턴스에서 외부로 나간 트래픽(공인 IP로 변환되어 외부로 나가게 됨)을 같은 가용 영역의 B 인스턴스로 전송하는 것은 과금! 2. 다른 가용 영역 간 통신은 유료: 다른 가용영역과 통신하기 위해서는 VPC 밖인 인터넷을 통해 다른 가용 영역으로 가게 되기 때문에 비용이 발생된다. AWS의 보안 서비스1. 보안 그룹(Security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