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컴퓨팅 48

[24.07.10] AWS EBS(Elastic Block Store) Snapshot 실습 (Windows)

스냅샷 실습스냅샷은 증분 저장을 한다고 했다.정말 증분 저장을 하는가? 확인해보자.하드 디스크에 A, B, C, D를 생성한 뒤 Snapshot-01을 만든다.이후 E, F, G를 생성하고 B를 삭제한 뒤 Snapshot-02를 저장했을 때,문서에 적힌 대로 증분 백업이라고 하면 Snapshot-02에는 E, F, G만 저장되어야 한다. 새 볼륨에  Snapshot-01 생성E, F, G 생성, B 삭제 Snapshot-02 생성H, I 생성, A, C 삭제  증분 백업이라고 하니, 각 스냅샷에는snapshot-01 > A, B, C, D snapshot-02 > E, F, G snapshot-03 > H, I가 저장이 되어있을 것 같다. 직접 확인해보기이 상태에서 스냅샷 2번을 볼륨으로 생성하여 인스턴..

[24.07.09] AWS EC2 Windows, Linux 환경에 디스크 확장 및 추가 실습

Windows1. C 드라이브 기존 용량에서 10GB 늘리기 - 볼륨 수정 - 볼륨 확장  - 서버 관리자로 확장하기  - 컴퓨터 관리로 확장하기 2. D 드라이브 추가 1. C 드라이브 기존 용량에서 10GB 늘리기- EBS 볼륨 확장 * 용량을 늘리는 것은 가능하지만 줄이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볼륨 타입을 변경하는 것은 가능하다.윈도우 서버에서 볼륨을 확장해야 한다.  2. D 드라이브 추가    우클릭 해서 온라인, 디스크 초기화  MBR과 GPT의 차이는?MBR은 2TB 까지, GPT는 2TB 이상 지원된다 GPT 설정 후 새 볼륨 만들기   Linux1. Key pair 생성하여 EC2 인스턴스 실행하기 - 키 페어 생성 및 패스워드 설정과 키 페어 등록하기 - EC2 생성 (User-Data..

[24.07.09] AWS 기본 과정 - 2 PuTTY로 키 페어 생성, Tag, EBS(Elastic Block Store), Snapshot

AWS 기본 과정 -1 리뷰 및 추가 키 페어 추가 설명 키 페어를 카피해간 사람은 어떻게 알아내나? 키 페어 방어하는 방법? 키 페어 관리하는 방법을 알아야 하는데...키페어를 가져간 사람을 모를 경우 어떻게 방어할 수 있는지?복구하는 아이디어는 어제 알려주시긴 했다. 키 페어는 AWS에서 자동적으로 만들어짐키 페어는 패스워드 없이 가져가서 사용하면 되는데-> 키 페어를 생성할 때 패스워드를 생성하는 방법이 있다키 페어 주인이 맞는지 확인하는 작업.이 것은 AWS에서 제공하는 기능이 아니다. 직접 키 페어를 생성하는 것이 좋다. 리눅스/macOS에서는 Sshkeygen이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키를 생성할 수 있음.윈도우의 경우? puttygen 이용타원 함수를 가지고 암호화 키를 생성하게 됨 저장은 ..

[24.07.08] AWS 기본 과정 - 1 클라우드 컴퓨팅 기초 및 용어 정리, 리전과 AZ, EC2 Instance

클라우드 컴퓨팅클라우드 컴퓨팅은 구성 가능한 컴퓨팅 자원(컴퓨터 네트워크, 서버, 스토리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등)에 대해 어디서나 접근이 가능한, 주문형 접근을 가능케하는 모델내가 원할 때 언제 어디서나 네트워크를 통해서 IT 관련된 인프라, 플랫폼, 서비스를 빌려쓰는 것. 퍼블릭 클라우드- 컴퓨팅 리소스를 공개적으로 제공한다. 외부 통신 가능프라이빗 클라우드- 컴퓨팅 리소스를 내부에서만 접근 가능하다.단점: 트래픽 폭주 시 자원이 확장하기 어렵다. 클라우드가 아시아에 출시된 지 얼마나 되었을까?aws 싱가포르 리전 2010년 출시aws 한국 리전 2016년클라우드 컴퓨팅이 한국에서 흥행한지 얼마 안 됐다. 6~7년 정도 클라우드 컴퓨팅 종류AWS, Azure, GCP, NHN, UCloud * 물..

[24.07.04] 인프라 기초 4 Docker와 컨테이너, 레지스트리

인프라 기초 3 복습 1,2일차인프라를 관리하기 위해서 커널을 사용하는데커널은 운영체제에 포함되어 있음 우리는 리눅스라는 운영체제를 사용하고 rocky를 이용하여 실습하였다. 3일차프로세스를 관리하기 위해 systemd를 사용한다.명령어는 systemstl을 사용. 프로세스를 시작하려면 start, 종료하려면 stop 등의 명령어를 사용하여 다룬다.스토리지 구성.디스크를 새로 추가해서 디스크 파티셔닝을 진행했다.파티션이 나뉜 디스크를 특정 디렉터리에 연결(mount)하여 사용해보았다.표준입출력과 파이프라인도 살펴보았다.표준 출력으로 파일 생성 및 변경, 추가가 가능하고 에러 또한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표준 입출력에서는 채널이라는 개념이 존재하는데, 표준 에러 출력은 2번 채널을 이용하고 있으며 표준 에..

[24.07.03] 인프라 기초 3

인프라 기초 - 2 복습-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술 : IT - 인프라는 CPU, 메모리, 네트워크, disk(storage)가 필요하고,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파일 시스템이 필요하다.- 인프라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커널  필요- 커널에서는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그런데? 프로세스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파일 시스템에 파일이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내가 실행하고 싶은 파일이 없을 경우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 외부 레포지토리에 저장된 내용을 가져와 설치한다.- 이 때 많은 바이너리와 라이브러리가 함께 설치되는데, 바이너리+라이브러리를 소프트웨어 패키지라고 부른다.-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설치하고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AWS Well-Architecture- 신뢰성- 비용최적화- 성능- 보안..

[24.07.02] 인프라 기초 2

인프라 기초 1 복습- 인프라란?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기반 시설인프라가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cpu, memory, disk, network가 필요하다. - IaaS: 인프라를 제공해주는 클라우드 서비스. Infrastructure as a ServiceIaaS 예시) EC2, VPC 등 - 서버: 컴퓨터.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역할* 흔히 사람들이 말하는 컴퓨터는 데스크탑이다.- 데스크탑: 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장치 * 우리는 서버를 구축하고 설계하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  * 실습을 통해 특정 OS를 사용하고 서비스를 이용해보자.- OS: 커널을 통해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여러가지 작업을 실행컴퓨터는 OS가 꼭 필요하다. 왜?인프라 자원들이 올바르게 작..

[24.07.01] 인프라 기초 1

클라우드 서비스 종류 3가지 1.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 인프라(자원, 서버)를 사용자에게 서비스로 제공한다.ex. 가상 서버, 가상 컨테이너, EC2, VPC, EBS, EKS 등2. PaaS(Platform  as a Service): 애플리케이션 개발, 실행, 관리를 위한 클라우드 기반 플랫폼을 제공한다.ex. Azure, AWS, Google App Engine 등3. SaaS(Software as a Service): 제공업체 100%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ex. Dropbox, Google Apps, Salesforce 등 인프라 엔지니어의 업무1. 설계2. 구축3. 운영 인프라를 구성하는 요소 3가지1. 퍼실리티(Facility)- 물리적/..